형사 썸네일형 리스트형 선거 앞둔 식사 대접, 기부행위로 처벌될까?|공직선거법 위반 판례 해설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역 유권자들에게 식사를 제공한 군수, 과연 단순한 식사 대접일까? 아니면 불법 기부행위일까?이번 글에서는 대법원 판결을 통해 공직선거법상 기부행위의 판단 기준과 사회상규에 따른 위법성 조각 여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사건 개요현직 군수였던 피고인은 다음 지방선거 출마가 유력한 상황에서, 지역 청년위원회 위원 등 선거구민 20명에게 약 36만 원 상당의 식사를 제공했습니다.이에 검찰은 공직선거법 위반(기부행위) 혐의로 피고인을 기소했습니다.❗ 피고인의 주장이 모임은 선거와 무관한 단순한 친목 모임이었다.혹시 선거와 관련 있더라도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는다.자백은 수사기관의 압박에 의한 허위 자백이었다.⚖️ 대법원의 판단1️⃣ 자백의 임의성 인정대법원은 피고인의 학력·경력·사회적 .. 더보기 회사에서 동료와의 대화를 몰래 녹음하면, 법적 증거가 될까요? 직장에서 갈등이 생겼을 때, 특히 누군가 회사에 실질적인 손해를 끼친 정황이 있다면, 자연스럽게 "이걸 녹음해도 될까?", "이 녹음이 법정에서 증거로 인정될까?" 하는 궁금증이 생깁니다.실제로 이런 일이 벌어진 사건이 있었습니다. 오늘은 그 판례를 바탕으로, 몰래 녹음한 대화가 증거로 사용될 수 있는지, 법원의 판단 기준과 함께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사건 개요: 회사 기밀을 유출한 직원B씨는 A 회사의 직원이었고, 경쟁사 C 회사에 영업 기밀을 유출했다는 혐의로 업무상 배임죄로 기소되었습니다.A 회사 대표 D씨는 B씨와의 대화를 몰래 녹음했고, 이 녹음 내용을 녹취록으로 작성해 증거로 제출했습니다.하지만 B씨는 해당 녹취록의 증거 사용에 동의하지 않았습니다.⚖ 법원의 판단: 녹음의 진정성립이 핵심.. 더보기 경매로 낙찰받은 건물, 내부 물건 함부로 철거하면 재물손괴죄로 처벌될 수 있어요! 건물은 내 소유, 그런데 내부 물건은 누구 소유일까?경매로 공장이나 건물을 낙찰받았을 때, 내부에 남아 있는 타인의 물건은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내 건물이니까 치워도 되겠지!"라고 생각했다가, 재물손괴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오늘은 실제 사례를 통해, 낙찰받은 건물 내부의 타인 소유 자재를 무단 철거한 경우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실제 사례: 무단 철거로 형사처벌까지사건 개요피고인은 경매를 통해 한 저온 저장 공장 건물을 낙찰받았습니다.하지만 그 안에는 피해자 소유의 자재가 일부 남아 있었죠. 피고인은 이 건물을 개조하려 했지만, 남은 자재들이 방해되자 일방적으로 철거를 진행했습니다.결국 일부 자재가 손상되었고, 피해자는 재물손괴죄로 형사고소를 했습니다.법원의 판단법원은 피고인의 행위가 .. 더보기 이전 1 다음